MY MENU

오수처리시설

오수처리시설의 정의

오수처리시설은 하수종말처리장이 설치되지 아니한 지역의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 시설물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하수처리시설입니다.

시설규모의 산정기준

급식시설오수 발생량 15L/급식인원, BOD 생물화학적산요구량 350mg/L
주택시설오수 발생량 200L/인, BOD 생물화학적산요구량 200mg/L
숙박시설오수 발생량 300L/인, BOD 생물화학적산요구량 200mg/L
의료시설오수 발생량 1000L/병상, BOD 생물화학적산요구량 300mg/L
학교시설오수 발생량 30~40L/인, BOD 생물화학적산요구량 100mg/L

처리방법

호기성 접촉방법
호기성 접촉방법은 접촉여재를 충진시켜 여과상을 형성한 후 폭기시키는 가운데 오수를 순환시키므로서 접촉재 표면에 생물막을 형성하고 접촉재에 부착된 생물막과 오수가 반복 접촉함에 따라 오수중의 유기물 제거를 꾀하는 것입니다.
접촉폭기조 내의 미생물 유지는 생물막으로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최종 침전조로부터 사실상 슬러지 반송은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폭기조내에 미생물이 성장할수 있는 활성슬러지가 부족할 경우 인위적인 반송도 요구됩니다.
최종 침전조의 역할은 고액분리에 의한 처리수를 얻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접촉 폭기조 유출수의 미량의 SS제거와 생물막의 탈리 유출 또는 여상 세정에 의한 일시적 슬러지 유출 등에 의한 처리수질 악화의 방지를 위함입니다.
슬러지 탈리 방법
HBC여재의 특성상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고 하나 국내 및 제작 설계시의 탈리 방법은 1년에 1회 정도는 침전실내의 침전물의 수거차량이 수거하는 방식입니다.